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02강] 리얼타임 콘텐츠 제작 관리 - PD/PM 리얼타임 콘텐츠 프로젝트에서 PD/PM(프로듀서/프로젝트 매니저)은 단순히 프로젝트를 감독하는 것을 넘어서, 영업부터 수금까지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를 책임진다. 필자가 속한 부서에서는 리얼타임 콘텐츠 제작의 전 과정, 즉 영업, 견적 작성, 계약 체결, 프로젝트 관리, 외주 관리, 그리고 최종 수금까지 PD/PM이 전적으로 담당한다. 이 글에서는 각 단계에서 PD/PM의 역할과 책임을 구체적으로 다뤄보겠다.  1. 영업: 프로젝트 수주의 첫 단계 영업은 리얼타임 콘텐츠 프로젝트의 시작이자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다. PD/PM은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솔루션을 제시해야 하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주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형성이 필수적이다... 더보기
[01강] 리얼타임 콘텐츠 제작 관리 - 자동차 산업 자동차 산업에서 리얼타임 콘텐츠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회사에서는 리얼타임 콘텐츠뿐만 아니라 일반 영상 콘텐츠의 포스트 프로덕션도 다루고 있다. 광고 포스트프로덕션으로 시작한 회사지만, 최근 몇 년간 리얼타임 엔진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젝트에도 주력하고 있다. 필자는 3D Animation, VFX, S3D Conversion, Realtime - VR, AR, Configurator, Cloud Streaming, WebGL 등의 분야에 종사해 왔고, 현재는 주로 Realtime 콘텐츠를 진행하며, 자동차 산업 분야에 주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리얼타임 콘텐츠 제작 관리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PD/PM의 역할이 어떻게 확장되고 있는지를 이야기해 .. 더보기
폭포수 vs 애자일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고민되는 부분은 어떤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지에 대해 선택하는 것입니다. 기존에 많은 프로젝트는 폭포수(Water-fall) 방식으로 분석하고 설계하고 개발, 테스트 그리고 종료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애자일(Agile) 방식의 프로젝트로 작은 범위의 분석/설계/개발/테스트를 반복하는 형태로 사이클을 돌면서 프로젝트를 완료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최근 디지털 전환이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에서는 애자일 방식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이야기하기 전에 프로젝트 관리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건축과 IT 프로젝트의 구조는 거의 비슷한 구조이므로 동일 자격증 (PMP)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더보기
디지털 휴먼의 현재와 미래 요약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메타버스가 콘텐츠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하면서 고품질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최근 메타버스를 필두로 하여 혼합현실 서비스 및 콘텐츠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휴먼으로 대표되는 고품질 3D 가상인간에 대한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적 발전이 급격히 가속화되고 있다. 정밀한 3D 인체모형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들의 현재 상황과 기술적 사례들을 바탕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1996년 최초의 가상 인간의 등장 이후 가상인간을 통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기술적 한계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기술의 발전을 통해 가상 인간은 디지털 휴먼으로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디지털 휴먼은 실제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간의.. 더보기
사전 렌더링과 실시간 렌더링의 차이점 번역기 느낌이 나지만, 이해하는데 지장 없음. 저는 고등학교 시절 파이널 판타지 VII와 IX 게임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두 게임을 모두 끝내지 못했지만 '와, 컷 씬이 너무 멋지다! 그런데 왜 게임플레이가 컷 씬처럼 멋져 보이지 않았을까?'라고 혼자 생각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제 경험에 공감할 수 없다면 (네 저는 구세대가 맞습니다), 여기에 여러분에게 더 맞는 것이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를 보는 동안 게임 광고에 노출되어 그래픽에 압도당한 적이 있습니까? "와, 이 게임을 모바일로 할 수 있을까? 이것은 콘솔 게임같네!"라고 감탄하며 여러분은 그것을 다운로드하고, 플레이하면서 게임플레이가 여러분이 본 광고와 전혀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그것이 바로 사전 렌더링과 실시간 렌더링.. 더보기
VFX / 3D Animation 제작의 이해 VFX와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1분만에 이해하기 VFX 영화의 제작 방법들 - 개요 컨셉 아트 스토리보드 / 사전 제작 3D 시네마틱 / 애니매틱스 / 선 시각화 작업(Previsualization) 주인공과 소품 조각 (필요한 경우) 3D 모델링, UV 언 랩핑, 텍스처링 리깅, 애니메이션 FX / 시뮬레이션 음영, 조명 렌더 패스 실사 촬영 로토스코핑, 크로마 제거, 추적, Matchmoving, 와이어 제거, 무광택 페인팅 투영 매핑, 조명 모든 요소의 합성 VFX 제작 과정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대본을 쓰고 다시 쓰고, 예산과 일정을 결정하고, 자금을 확보하고, 배우와 장소를 확보합니다. 촬영은 세트로 진행됩니다.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세트 및/또는 크로마키가 있는 스튜디오에 있을 .. 더보기
애자일한 PM이 되고 싶어요 PM은 애자일의 도르래를 돌리는 사람이다 1. 스크럼과 PM 애자일에 대한 내용을 학습으니,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방식인 **스크럼(Scrum)**을 집중적으로 공부해보자. 스크럼이란 팀이 중심이 되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애자일의 대표 관리 Practice이다. 스크럼 자체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발전해온 협업 방식이다 보니 낯설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읽기 자료 중에서도 위 유튜브 영상에서 스크럼이 작동하는 방식을 손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위 영상에서는 아이스크림 죠스바를 위해서라면 뭐든지 다 하는 가상의 '죠스바 팀'을 예시로 스크럼 시뮬레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스크럼의 원리 스크럼은 결국 우리는 고객을 잘 모르기 때문에 → 빠르게, 자주 고객에게 릴리즈하고 새롭게 발견해야 하며 → 그렇.. 더보기
Sprint 활용 대표적인 Agile 방법론, Scrum 내 머리속에서 애자일(Agile)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로 스크럼(Scrum)이다. 요즘에는 관심이 좀 식었지만 한 때 폭발적인 관심으로 애자일 = 스크럼이 될 정도였었다. 대기업에서는 특히 스크럼을 실행하는 곳이 많았는데 사이트를 가면 스크럼 기반으로 만들어진 팀부터 프로젝트 관리까지 스크럼 투성이었다. 우선 스크럼의 탄생은 일본 히토츠바시 대학의 노나카 이쿠지로와 타케우지 히로타카가 1986년 1~2월 Harvard Business Review에 올린 "The New New Product Developement Game" 에서 시작된다. 이 아이디를 기반으로 1991년 디그라스(DeGrace)와 슈탈(Stahl)이, "Wicked Problems, Righteous Solutions" 에서 .. 더보기
Agile이란? 애자일 agile 하다는 건 나중에 할 것을 더 먼저 할 수 있게 만드는 것 개발 프로젝트는 중도에 무언가 바뀌는 것이 큰 위험 혹은 불편으로 다가왔고, 차곡차곡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이 미덕으로만 보였다. MVP 같은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고, 마감이 끝나지 않은 콘텐츠를 고객에게 오픈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모든 것은 순서가 정해져있었다. 그러나 일부 개편 프로젝트를 과정에서 몇 가지 시행착오를 거치고 나서, 이 말이 크게 와닿았다. 나중에 할 것을 더 먼저 할 수 있게 하기. 어차피 해야 할 것을 미리 할 수 있게 하기. 리드lead 타임을 줄이기. 리스크를 줄이기. 그러자 그간 당연하다고 생각한 업무 혹은 피상적으로만 이해하던 과제와 역할들이 실은 모두 애자일 agile의 맥락에 닿아있다는 생각이 .. 더보기
프로젝트 WBS의 중요도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이하 WBS)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제 일해 본 경험이 필요하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과 진행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작업분류체계(WBS) PMP 자격증에서 요구하는 건 많지만 가장 중요한 건 작업분류체계(WBS) 디자이너 써서 만든 이쁜 PowerPoint 제안서(이하 PPT 제안서)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글로벌 기업들의 접근이 다 맞는 건 아니지만 PPT 제안서보다는 Word 형식 작업지시서(SOW)가 더 중요 회사 마다 기준은 다릅니다. 자이언트스텝의 경우 프로젝트 마다 다릅니다. 작업분류체계(WBS)와 함께하는 프로젝트의 3요소 프로젝트 비용(CBS), 프로젝트 조직(OBS) 제안요청서(RFP)를 요청할 수도 있고, 요청된 제안요청서(R.. 더보기
간트 차트 개론 간트 차트 개론: 완벽 가이드 • Asana 간트 차트는 프로젝트의 타임라인과 관련 작업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로 막대 차트입니다. Asana 가이드에서 간트 차트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asana.com 요약 간트 차트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프로젝트의 일정과 관련 작업 또는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로 막대 차트입니다. 간트 차트로 작업 일정을 계획하고 결과물을 계획대로 진행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직장에서나 프로젝트 킥오프 미팅에서 간트 차트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간트 차트가 무엇인지, 프로젝트 관리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어떻게 만드는지 잘 알고 계시나요? 간트 차트는 꽤 복잡할 수 있지만, 기본 사항을 간단하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 더보기
RFP 작성과 이해에 대한 고찰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같은 프로젝트 요구사항으로 우리 시스템 정말 성공할 수 있을까? '갑'이라는 이유로 마음대로 써서 던져진 RFP(Request for Proposal)의 폐해 이사짐센터 불렀더니 화장실 고치고 부엌 확장해 달라하는 '갑'님들 수시로 바뀌는 요구사항은 프로젝트 비용과 시간 같이 고려 필요 프로젝트하는 데 나만 일하고 옆에서 보고 있는 현실 너무 힘들다 정말 현실적인 RFP(제안요청서)와 현실적인 프로젝트 조직이 답이다. 프랑켄슈타인 같은 프로젝트 요구사항으로 우리 시스템 정말 성공할 수 있을까?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2가지 있습니다. 정보요청서(Request for Information, 이하 RFI)와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 더보기
PM, PO 어떻게 다른가? 아직도 헷갈리는 PM, PO 그리고 기획자 '무슨 일 하세요?' 'PM 이요..' '오 어떤 프로덕트요?' '아 프로젝트 매니저요' 이런 경우가 한국에는 꽤나 있다. 이제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젝트 매니저는 헷갈리지 않으실거 같지만, 줄임말이 'PM' 이다보니 이야기 하면서도 계속 헷갈린다. 또, 지금 내가 일하는 조직에서 내 역할은 PO이지만, 이게 도대체 예전에 맡았던 '기획자' 또는 PM 업무와 뭐가 다른지 엄청나게 헷갈리는 경우도 많았다. 뭔가 PO는 이름부터 'Owner' 이니까 주인?인가 싶고, PM은 'Manager' 이니까 관리자? 그럼 보통 주인님이 위에 있고, 주인님이 시키는대로 하는게 관리자인가? 뭐 이런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뭔가 '기획자' 는 위에서 시.. 더보기
PM - Project Manager? vs Product Manager? 같은 매니저여도 프로젝트와 프로덕트는 다르다. 그러나.... 서비스 기획과 PM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 에 대한 글과 분석이 많다. 정확히는 UX/UI 기획자와 서비스 기획의 역할 범위, 서비스 기획과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 더 나아가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오너의 차이까지.... 그중에서도 줄임말로 똑같이 PM이라고 부르는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차이는 상당하다고 생각한다. 일이 생겨나는 배경, 최종적으로 내놓아야 하는 산출물, 달성해야 하는 목표의 성질, 관리하는 대상과 범위가 다르다. 애초에 프로젝트랑 프로덕트는 같은 층위에서 비교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니까. 그럼에도 둘 사이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건 바로 '그래서 무엇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