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 Manager

폭포수 vs 애자일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고민되는 부분은 어떤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지에 대해 선택하는 것입니다. 기존에 많은 프로젝트는 폭포수(Water-fall) 방식으로 분석하고 설계하고 개발, 테스트 그리고 종료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애자일(Agile) 방식의 프로젝트로 작은 범위의 분석/설계/개발/테스트를 반복하는 형태로 사이클을 돌면서 프로젝트를 완료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최근 디지털 전환이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에서는 애자일 방식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이야기하기 전에 프로젝트 관리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건축과 IT 프로젝트의 구조는 거의 비슷한 구조이므로 동일 자격증 (PMP)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더보기
애자일한 PM이 되고 싶어요 PM은 애자일의 도르래를 돌리는 사람이다 1. 스크럼과 PM 애자일에 대한 내용을 학습으니,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방식인 **스크럼(Scrum)**을 집중적으로 공부해보자. 스크럼이란 팀이 중심이 되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애자일의 대표 관리 Practice이다. 스크럼 자체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발전해온 협업 방식이다 보니 낯설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읽기 자료 중에서도 위 유튜브 영상에서 스크럼이 작동하는 방식을 손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위 영상에서는 아이스크림 죠스바를 위해서라면 뭐든지 다 하는 가상의 '죠스바 팀'을 예시로 스크럼 시뮬레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스크럼의 원리 스크럼은 결국 우리는 고객을 잘 모르기 때문에 → 빠르게, 자주 고객에게 릴리즈하고 새롭게 발견해야 하며 → 그렇.. 더보기
Sprint 활용 대표적인 Agile 방법론, Scrum 내 머리속에서 애자일(Agile)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로 스크럼(Scrum)이다. 요즘에는 관심이 좀 식었지만 한 때 폭발적인 관심으로 애자일 = 스크럼이 될 정도였었다. 대기업에서는 특히 스크럼을 실행하는 곳이 많았는데 사이트를 가면 스크럼 기반으로 만들어진 팀부터 프로젝트 관리까지 스크럼 투성이었다. 우선 스크럼의 탄생은 일본 히토츠바시 대학의 노나카 이쿠지로와 타케우지 히로타카가 1986년 1~2월 Harvard Business Review에 올린 "The New New Product Developement Game" 에서 시작된다. 이 아이디를 기반으로 1991년 디그라스(DeGrace)와 슈탈(Stahl)이, "Wicked Problems, Righteous Solutions" 에서 .. 더보기
간트 차트 개론 간트 차트 개론: 완벽 가이드 • Asana 간트 차트는 프로젝트의 타임라인과 관련 작업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로 막대 차트입니다. Asana 가이드에서 간트 차트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asana.com 요약 간트 차트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프로젝트의 일정과 관련 작업 또는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로 막대 차트입니다. 간트 차트로 작업 일정을 계획하고 결과물을 계획대로 진행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직장에서나 프로젝트 킥오프 미팅에서 간트 차트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간트 차트가 무엇인지, 프로젝트 관리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어떻게 만드는지 잘 알고 계시나요? 간트 차트는 꽤 복잡할 수 있지만, 기본 사항을 간단하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 더보기
PM, PO 어떻게 다른가? 아직도 헷갈리는 PM, PO 그리고 기획자 '무슨 일 하세요?' 'PM 이요..' '오 어떤 프로덕트요?' '아 프로젝트 매니저요' 이런 경우가 한국에는 꽤나 있다. 이제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젝트 매니저는 헷갈리지 않으실거 같지만, 줄임말이 'PM' 이다보니 이야기 하면서도 계속 헷갈린다. 또, 지금 내가 일하는 조직에서 내 역할은 PO이지만, 이게 도대체 예전에 맡았던 '기획자' 또는 PM 업무와 뭐가 다른지 엄청나게 헷갈리는 경우도 많았다. 뭔가 PO는 이름부터 'Owner' 이니까 주인?인가 싶고, PM은 'Manager' 이니까 관리자? 그럼 보통 주인님이 위에 있고, 주인님이 시키는대로 하는게 관리자인가? 뭐 이런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뭔가 '기획자' 는 위에서 시.. 더보기
PM - Project Manager? vs Product Manager? 같은 매니저여도 프로젝트와 프로덕트는 다르다. 그러나.... 서비스 기획과 PM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 에 대한 글과 분석이 많다. 정확히는 UX/UI 기획자와 서비스 기획의 역할 범위, 서비스 기획과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 더 나아가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오너의 차이까지.... 그중에서도 줄임말로 똑같이 PM이라고 부르는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차이는 상당하다고 생각한다. 일이 생겨나는 배경, 최종적으로 내놓아야 하는 산출물, 달성해야 하는 목표의 성질, 관리하는 대상과 범위가 다르다. 애초에 프로젝트랑 프로덕트는 같은 층위에서 비교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니까. 그럼에도 둘 사이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건 바로 '그래서 무엇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