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와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1분만에 이해하기
VFX 영화의 제작 방법들 - 개요
- 컨셉 아트
- 스토리보드 / 사전 제작
- 3D 시네마틱 / 애니매틱스 / 선 시각화 작업(Previsualization)
- 주인공과 소품 조각 (필요한 경우)
- 3D 모델링, UV 언 랩핑, 텍스처링
- 리깅, 애니메이션
- FX / 시뮬레이션
- 음영, 조명
- 렌더 패스
- 실사 촬영
- 로토스코핑, 크로마 제거, 추적, Matchmoving, 와이어 제거, 무광택 페인팅
- 투영 매핑, 조명
- 모든 요소의 합성
VFX 제작 과정
<Pre-Production>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대본을 쓰고 다시 쓰고, 예산과 일정을 결정하고, 자금을 확보하고, 배우와 장소를 확보합니다.
<Production>
촬영은 세트로 진행됩니다.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세트 및/또는 크로마키가 있는 스튜디오에 있을 수도 있음)
<Post - Production>
비주얼효과는 영상, 음향, 편집, 컬러 그레이딩 등이 적용되며 영화 후반작업이라고 부릅니다.
CG애니메이션 파이프라인이 영화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거치는동안 대부분의 VFX작업은 후반 작업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VFX파이프라인의 10단계를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Story 제작단계 (1단계)
Story는 모든 영화제작의 기초가 됩니다. 스토리 단계는 Pre-Production의 역할이며 캐릭터, 줄거리, 그리고 그들이 존재하는 세계를 계획하는 단계를 말하게 됩니다.
시나리오 작가들과 제작자들은 브레인 스토밍 세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그 내용들을 완전한 대본으로 바꾸게 됩니다.
만약 책이 영화로 만들어지고 있다면, 시나리오 작가는 스토리가 영화단계에서 잘 번역되도록 각색하기 위해 고용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반지의제왕과 해리포터입니다.
2. Story보드와 Animatics
스토리 보드 및 애니메틱스 단계에서 아티스트 또는 아티스트 팀이 스크립트 내에서 작업을 그림및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작업자들은 이야기 내의 캐릭터 모션과 설정을 분석하고 기본 도면을 사용하여, 샷에서 샷까지의 프레임을 정의합니다.
스토리보드는 프로덕션 작업의 기초가 되, 이러한 시각 자료는 Production 팀이 준비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게됩니다.
3. Pre-Vis (Previsualization)
CG애니메이션 제작과정 중에서 최근들어 더 많은 인기를 끌고있는 전 처리 시각효과 분야의 기술은 스토리 보드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킵니다.
3D아티스트는 Low - Poly 모델을 만들, 장면이 나오는 장소를 표현합니다. 그 후 제작 팀과 협력하여 카메라 각도를
설정하고 복잡한 장면을 미리 제거합니다.
이 작업은 정해진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예술가들은 콘셉트 아트를 맞추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모양과 구성을 스케치하여 컨셉아트와 매칭하는 걱정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을 좋은 방향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4. Concept Art and Design
CG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컨셉아트는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됩니다.
Pre-Production에서 아티스트나 아티스트팀들로 이루어진 팀은 추가적인 설정을 만들고, 캐릭터, 소품, 의상, 조명, 색상 등을 더욱 세부적으로 정의한 이미지를 완전히 그려 냄으로써 영화의 모양과 느낌을 만들어 내게 되고 영화의 분위기와 의미는 종종 컨셉아트 단계에서 만들어진 것에 의해서 확정이 됩니다.
5. Layout and Production Design
Production 디자인이라고하는 Layout은 각 역할마다 다른 의미를 가지며, 최종 목표는 최종 결과물이 어떻게 보일지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Physical Set구축 팀은 무엇이 물리적으로 가능하고, 디지털 세트 구축이 필요한지를 파악하고, 제작감독 및 Production팀과 커뮤니케이션 하게됩니다.
VFX팀의 경우 디지털 세트 빌드를 통합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레이아웃팀과 프로덕션 디자이너는 도면 사진 및 3D렌더링을 사용하여 배경이나 세트장을 완성하게 됩니다
6. Research and Development (R&D)
최근들어 CG 애니메이션 제작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면서 R&D의 중요성이 더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VFX담당자들은 디렉터들과 협력하여 특정 장면을 촬영하는 방법을 협업하게 됩니다.VFX아티스트, 테크니컬 다이렉터, 모델러, 애니메이터 및 Compositor들은 각자의 파트별 R&D를 수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 미사일과 같은 아주 특별한 Type의 소스에서 발생하는 폭발이 필요한 경우 VFX아티스트와 기술 감독은 화재와 연기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디오와 사진을 연구하고 그런 다음 프로그램 내에서 도구를 만들어 최종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하게 됩니다.
7. 3D모델링 및 텍스쳐링 작업
3D모델링 및 텍스처링 팀은 실용적이지 않거나 비효율적이지 않은 제품을 쓸모있게 제작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이 과정에 관련된 첫 번째 그룹 중 하나가 되는 것은 영화후반 작업프로세스이며 제작자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품, 건물, 차량, 무기와 같은 자산을 모델링 작업을해서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세트장에서 촬영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3D모델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촬영후 입히는것)
예를들어서 만약 앤디 서키스 같은 배우가 모션 캡쳐 슈트를 입으면, 3D모델러가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를 창조하게되는겁니다. 이 모델은 리깅이심어지고 애니메이션까지 심어지게되어 동작을 할 수 있게 됩니다.
3D모델은 일반적으로 메인프로그램으로 Autodesk Maya및 Pixologic ZBrush, 텍스처 아티스트들은 디지털 페인팅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8. 리깅과 애니메이션 작업
오브젝트나 캐릭터를 애니메이션화하기전에 리깅팀은 애니메이터가 사용할 수 있도록 컨트롤 시스템이나 디지털 골격을 구축합니다. 보통 뼈를 추가하고, 피부 무게를 계산하고 실행하며,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근육을 추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애니메이터는 Rig의 맞춤형 컨트롤을 사용하여 캐릭터, 받침대 또는 차량을 실제 상태로 만듭니다.
오래된 기술이지만 현대에 들어서도 여전히 모션 캡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있는데 모션 캡처 데이터는 최종 모습을 얻기 위해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숙련된 애니메이션 제작자가 필요하게 됩니다.
9. FX & Simulation
FX 아티스트의 임무는 감독의 구상한 다양한 생각들의 세계관에 매끄럽게 존재하는 영화에 시뮬레이션된 요소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언제든지, FX 작업자는 파괴, 화재, 액체, 연기 입자 시뮬레이션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종종 FX요소 충돌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애니메이터들과 함께 일합니다.
Effects Artist는 후디니를 자주사용하는데 블록 버스터급 영화에서 인상적인 시각 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쓰이지만 사실 신입으로는 뽑지 않는 분야라서 여러분들이 공부할 마음이 있다면 이 분야는 +@로 염두해두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9. Lighting & Rendering
애니메이션 및 효과 팀이 작업을 마치면 각 장면마다 적절한 라이팅이 필요합니다.
라이팅아티스트와 라이팅팀은 빛의 색상, 강도 및 그림자가 원래 촬영된 작품과 일치하도록 3D장면 전체에 전략적으로 조명을 만들어주는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런 다음 각 프레임 시퀀스가 필요한 카메라 각도에서 렌더링 되고 컴포지터에게로 전달됩니다.
10. Compositing (2D 합성영역)
CG 애니메이션의 가장 최종단계는 바로 컴포지팅이라 볼 수 있습니다
컴포지터는 앞서 제작한 영화의 모든 요소를 가져다가 서로 잘 어우러지도록 겹쳐 놓는데 이 작업을 컴포지팅 // 2D합성이라고 합니다.
컴포지터들은 색 보정, 마스킹, 다른 트릭과같은 요소들을 사용하여 모든 요소가 자연스럽게 함께 속해 있다는 자연스러움을 만들어 냅니다.
컴포지터들은 실제 촬영한 액션 장면에 만화 캐릭터를 넣거나 건물에 파괴를 가하거나 심지어는 도시 거리의 사진 위에 모의 쓰나미를 합성해서 자연스럽게 처리하기도 합니다.
2D 컴포지터가 작업하고 있는 것의 가능성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으며, 컴포지터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쓰지만 누크를 통해서 복잡한 노드를 작성합니다.
'기타 3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휴먼의 현재와 미래 (1) | 2022.06.25 |
---|---|
사전 렌더링과 실시간 렌더링의 차이점 (0) | 2022.06.25 |